거스트만 증후군의 정의와 치료
목차 1.거스트만 증후군의 정의 2.거스트만 증후군의 원인 3.거스트만 증후군 증상 4.선천적 거스트만 증후군에 동반되는 증상 5.거스트만 증후군 진단 6.거스트만 증후군 치료 |
앞서 알아본 루빈스테인-테이비 증후군과 다운증후군, 레트 증후군에 이어 이번에는 거스트만 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두정엽의 손상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아이에게서 나타나는 발달형과 후천적 뇌질환으로 인해서 나타나는 거스트만 증후군 두 가지로 나뉩니다. 이 두 가지 의 치료방법이 다르므로 잘 확인하여 구분한다.
거스트만 증후군의 정의
거스트만 증후군은 (Gerstmann Sydrome)이라고 하며 게르스트만 증후군, 저스트만 증후군이라고 명명하기도 한다. 요제프 게르스 트만(Josef Gerstmann, 1887년 7월 17일 렘베르크 출생 -1969년 3월 23일 뉴욕에서 사망)은 유대인이자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신경학자로 1906년에 비엔나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1912년에 졸업했으며 정신의학-신경과클리닉에서 일하다 1930년에 비엔나의 신경학 연구소의 소장이 되었지만 2차 세계대전으로 나치를 피해 미국으로 1938년에 건너갔습니다. 1924년 그는 4가지 증상으로 구성된 소스의 환자에게서 희귀한 신경학적 장애를 관찰하게 되었는데 그 4가지 증상은 계산수행장애(무산출증), 자신의 손가락 구별(손가락 실인증), 손으로 글쓰기가 안됨(설서증), 오른쪽 왼쪽구별(좌우 방향 감각 상실)입니다. 이 증후군은 겉으로 보기엔 정상이지만 뇌손상이 된 아동이나 성인에게도 나타나며 거스트만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뇌의 위쪽에 해당하는 두정엽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증상을 거스트만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좌측 두정엽부위가 손상을 받으면 위에 말한것처럼 무산출증, 손가락 실인증, 좌우방향감각상실, 실서증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증후군을 통칭합니다. 거스트만 증후군은 아이에게서 나타나는 발달형 거스 트만과 후천적 원인에 의해 발병하는 거스트만 증후군 두 가지로 나뉩니다.
거스트만 증후군의 원인
발달형 거스트만 증후군은 선천적으로 발명하며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후천적 거스트만 증후군은 뇌졸증, 뇌종양, 뇌농양등의 뇌병변에 의해 발생합니다.
거스트만 증후군 증상
- 손가락 인식불능증
- 좌우방향감각상실(왼쪽과 오른쪽이 존재하지 않음 측면이 상실됨)
- 실서증
- 계산장애
선천적 거스트만 증후군에 동반되는 증상
- 피부그림감각이상
- 두점식별능력장애
- 입체인식불능증
- 정상이하의 IQ로 인한 학습장애
거스트만 증후군 진단
거스트만 증후군의 진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신경인지기능검사는 앞서 말한 4가지의 주요 증상과 동반된 신경 인지장애를 검사하며, 뇌파검사는 선천정인 경우에서 약 50% 정도가 이상소견이 발견된다고 합니다. 뇌 자기 공명 영상 검사 (MRI)로는 선천적인 경우에는 대부분정상이지만 좌우 비대칭 대뇌반구가 발견되기도 합니다. 후천적 거스트만 증후군에서는 두정엽의 손상이 발견됩니다.
거스트만 증후군 치료
발달형 거스트만 증후군은 인지치료, 언어치료, 작업치료등의 특수재활치료가 필요합니다. 학습적인 장애도 나타나므로 지속적인 특수교육 치료가 필요합니다. 성인환자의 경우 기저질환이 있으면 기저질환을 반드시 칠요 하고 뇌 손상이나 종양에 의해 발생한 경우는 수술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뇌졸중으로 인해 발생하는 거스트만 증후군은 증상의 경과 및 치료 결과가 좋은 편입니다.
'질병 및 장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장애인에 대한 인식과 복지 및 개선점 (0) | 2023.06.09 |
---|---|
터너 증후군의 정의와 원인 및 치료 (0) | 2023.06.09 |
다운증후군의 정의와 증상 및 치료 (0) | 2023.06.08 |
정신장애의 정의와 분류 (0) | 2023.06.08 |
지체장애의 정의 , 증상, 합병증 (0) | 2023.06.08 |